티스토리 뷰

반응형

코로나19 확진자의 증가로 수도권이 방역 최고단계인 4단계를 연장해 이어가고 있지만 델타변이에 의한 돌파감염의 증가, 각종 백신 부작용 사례 등으로 기존 백신의 예방효과에 대한 신뢰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예방의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한 약물이 있는데요. 

 

바로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치료제로 잘 알려진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라는 약물입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페노피브레이트는 코로나를 최대 70%까지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페노피브레이트'란 어떤 약물이며 왜 코로나 예방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페노피브레이트란? 

페노피브레이트는 오랫동안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세계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값싸고 안전성이 확인된 약물입니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영국의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를 포함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경구용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승인을 받아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데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는 떨어뜨리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지질단백(HDL) 수치는 증가시켜주는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

 

 

페노피브레이트의 코로나19 예방효과는? 백신을 대체할 수 있을까?

    기존 코로나바이러스
      (중국 우한)
  알파변이 바이러스
           (영국)
  베타변이 바이러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델타변이 바이러스
           (인도)
    페노피브레이트의
    코로나 예방률
           70%              70%              70%       현재 확인 중

지난 7일 영국 버밍엄 대학과 킬 (Keele) 대학, 이탈리아 산 라파엘레 과학연구소,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의 공동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약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약들 가운데서 찾던 끝에 '페노피브레이트'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페노피브레이트는 먹는 약인데다 약값도 저렴하기 때문에 만약 임상시험에서 예방 효과가 검증 된다면 병원을 찾아 주사를 2회나 맞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백신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요. 

 

예방원리는 아주 간단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인간,동물)세포의 표면단백질인 ACE2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숙주세포를 감염시키는데요. 페노피브레이트가 이 둘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연구팀이 오리지널 코로나바이러스(중국 우한발)를 갖고 시험관에서 세포를 감염시키는 실험을 진행해본 결과 페노피브레이트를 투여했을 때 감염이 최대 7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뒤이어 진행한 알파 변이와 베타 변이 바이러스 실험에서도 같은 수준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현재 지배종으로 확산중인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는 확인 중이라고 하니 연구결과를 좀 더 기다려봐야 겠습니다. 

 

위 연구결과는 모두 실험실에서 시험관 실험으로 진행해 밝혀진 결과라는 한계가 있는데요. 현재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병원과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이 각각 페노피브레이트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나와서 주사를 맞는 고통과 번거로움 없이 예방효과를 낼 수 있는 먹는 예방약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페노피브레이트의 복용이 금지된 사람 

1) 간장애 환자
2) 중등도~중증 신장 장애 환자(혈청 크레아티닌치 2.5 mg/dL 이상)_복용시 근육이 심각하게 파괴되는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복용 금지
3)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중인 여성
4) 선재성 담낭질환 환자(담석형성이 보고됨)
5) 피브레이트 또는 케토프로펜으로 치료하는 동안 광알레르기 또는 광독성을 경험한 환자
6) 소아
7) 담관간경화증 환자
8) 췌장염 환자(중증 고중성지질혈증으로 인한 급성 췌장염 제외)

 

페노피브레이트의 부작용

사용자의 1~10% 정도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작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히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등 소화기계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식후 즉시 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해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 복용을 중단한 뒤 담당의사와 상의해 복용량을 줄이거나 다른 약물로 바꾸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 소화기계: 복통, 구역, 구토, 설사, 복무팽만감 등

• 근육통, 근육압통 

• 피부: 발진, 가려움증, 광민감반응 등
• 신경계: 어지러움, 두통 등
• 혈관계: 폐색전증, 혈전정맥염 등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